있던 물건이 없어서 그런가 너무 허전하고 공허하더군요 그래서 좀 더 진보한 기술인 추측항법이 되는 제품을 만들려고 부품을 주문한 상태입니다 ㅠ
일단 제가 만들려고 하는 GPS 수신기는 모두 RTK라는 기술이 들어간 제품들입니다
RTK는 "Real-Time Kinematic"의 약자로 한국어로 직역하면 "실시간 운동학"이라는 이해할 수 없는 요상한 단어의 조합으로 변합니다
좀 더 쉽게 설명드리면 GPS 오차가 2m인 GPS 수신기 2대가 있다고 한다면 한 대만 사용하면 수신기 오차는 2m입니다 그런대 2대를 동시에 사용하면 희한하게 10cm 이하의 오차가 나옵니다
대신 1대는 서버이고 다른 1대는 클라이언트로 연결해서 사용해야합니다 서버는 움직이지 않고 계속 같은 위치에서 수정된 위치 자료를 클라이언트에 보내주면 클라이언트 수신기는 서버에서 준 자료를 가지고 계산해서 10cm 이하의 정확도를 갖게됩니다
요즘은 "국토지리정보원" 같은 단체에서 따로 서버 수신기를 전국에 설치해서 인터넷망으로 서비스 하는데요 이걸 "NTRIP"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굳이 2대는 필요 없고 클라이언트 또는 로버 1대만 있으면 됩니다
이런 기술을 "RTK"라고 하는데요 이런 RTK 기술 또는 장비회사로 유명한 회사가 미국의 트림블(Trimble)이란 회사가 있습니다 등포분들중에 측량하시는 분들이라면 많이 알고 있을겁니다
RTK 기술을 가진 트림블과 퀄컴이 협업을 했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퀄컴의 스냅드레곤 8 젠 1과 스냅드레곤 888에 협업한 기술이 들어갔다고 얼마전 트림블 공식 보도 자료로 발표했습니다(트림블 RTX 기술이 비슷한 기술임)
위 캡처그림은 스냅드레곤 8젠 1 홈페이지에서 캡처한 그림입니다
위 협업 기술은 올해(2022년) 2분기에 공식 지원한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전적으로 기술의 적용은 스마트폰 제조사의 선택 여부에 달렸다고 합니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3피트" 약 "91.44cm"의 서브미터급 정확도를 갖게 됩니다
AP 젠 1이나 888를 사용하는 기종의 예는 말많은 갤럭시 S22 시리즈 그리고 갤럭시 S21 시리즈가 있습니다
지금 현재 범용 스마트폰에 들어간 최고의 gps 기술은 아마도 미디어텍 "디멘시티(Dimensity)" 시리즈일겁니다 참고로 안드로이드 최고의 AP 디멘시티 9000이 삼성 스마트폰에 들어간다는 루머가 있습니다 앞으로 나올 A53 Pro나 S22 FE에 들어간다고 하는데요 디멘시티 시리즈를 사용하는 스마트폰 gps 오차를 보면 1~1.5m 정도 나오는듯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아래 스마트워치 글이 있는데요 "삼성 갤럭시 워치를 포함한 안드로이드 스마트워치 + 로커스맵" 조합도 있습니다 ㅎㅎ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캡처 사진입니다 스마트폰에 있는 대시보드에는 온도, 습도, 고도, 심박수, 속도...등이 표시됩니다 그리고 내가 현재 있는 고도에서 위치와 앞으로 진행하는 산의 굴곡이 나옵니다
스마트워치는 스마트워치 기종마다 다르지만 위와 같이 내비게이션 안내 그림도 나오고 배경 지도도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성지도 그림도 스마트워치에서 보여줄 수 있습니다
끝~~~
제대로 이해하지는 못합니다만, 등산어플에 사용되면서 이런 정도의 정확성이 가능하다니, 군사용이나 특수목적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생각하면 살짝 소름이 돋습니다. |
그러긴하죠~~ ㄷㄷ 지도앱중에 정밀한 지도앱은 미군과 우리나라 군대??에서 사용하는 좌표계인 MGRS를 사용할 수 있어서 군대에서 바로 사용도 가능합니다 오히려 군대에서 사용하는 앱보다 더 좋지 않나 생각이듭니다
|
역시, 배가님. 말씀하신 바와 같이 등산시 정확도를 1미터 이내로 유지하려면 가까운 곳에 기준점이 되는 송신기가 있어야 되겠군요.기준점에 가까울 수록 오차는 줄어들테니까요. 오차를 1미터 이내로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거리는 얼마인지 궁금하네요. 배가님이 만드신 RTK GPS 장치가 벌써부터 기대됩니다. |
수신기가 단일 주파수(시티즌 주파수 L1)를 사용한다면 최대 약 30km 정도까지 정확도를 유지하고 듀얼 주파수(시티즌 주파수 L1, L2, L5) 조합은 약 50km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트림블하고 퀄컴이 협업하는 모델은 모두 듀얼주파수 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약 50~100km 사이가 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아니면 좀 다른 방식을 사용하지 않을까 생각도 듭니다
제가 만드는 건 "추측항법"인데요 이건 GPS 수신이 안되는 "동굴. 터널, 건물 안...에서 기록이 가능합니다 근데 아직 저도 사용하지 않아서 반신반의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