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 부동산포럼
  • 부동산포럼
  • 법률상담
  • 이사상담
  • 인테리어
  • 대출상담

금리인상이 집 가격을 하락시킬 수 있을까요? 30
낭인후후 5 2021-08-19 10:50   조회 : 2631

금리인상이 되면 아파트 가격이 떨어질까요?

 

이 질문의 전제는 아파트를 매수할때 대출을 받는 다는 걸 전제로 합니다.

2019년 12월 16일 부동산 대책으로 15억 이상 아파트는 대출 금지가 되었죠?

대출을 받고 싶어도 못 받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이거보다 전에 아파트를 매수하신 분들은 서울 지역은 이미 40% 대출 제한이 걸려있었죠.

그리고 2019년 전반기에 잠실 리센츠 엘스 등의 아파트가 국평이 15억에서 18억 하던 시절이니.. 40%대출 받아도 6억에서 7억 이었습니다.

만약 6억 대출이면 30년 3% 대출이면 원리금 250만원정도 입니다.

맞벌이면 버틸만 하죠.

그리고 그 이후에 아파트 가격이 토지거래허가구역인 와중에 현재 24억으로 튀어서 가격 대비 대출 비율로 따지면 더 줄어들었습니다. 

0.25% 정도 금리가 상승한다고 크게 영향이 있을까요? 원리금 10만정도 증가하는데...

그래서 잘 갚아나가기만 하면 별다른 문제가 없죠.

 

현재는 대출이 얼마나 나올까요?

풀대출이 얼마나 나오나요?

15억이상은 대출금지로 0원...

14억이라치면...9억까지 3억 6천 + 9-14억 구간 1억

이래서 합산 4억 6천이 한계로 알고 있습니다.

30년 3%로 계산하면 원리금 월 194만원 정도인데...

이것도 DSR 적용하면 대출이 끝까지 안나올 확률이 큽니다.

연봉 7500만원인 사람이 다른 대출 하나도 없을 경우에 DSR 38%정도 나오니.. 이게 대출 한계라고 보면 되겠네요

연봉 7500인 사람이 월 194만원 원리금을 내다가...

금리 0.25% 올라간다고 큰 지장이 있을까요? 원리금 4만원 증가하는데...

거기다가 맞벌이면... 더더욱 지장이 없겠지요?

지금은 15억 이상 대출 금지로 인해 시장이 왜곡되서 거꾸로 비싼 집을 최근에 매수한 사람일수록 금리에 대한 영향이 적어집니다.

 

전세를 끼고 매수하는 갭투자도 마찬가지죠. 전세금은 무이자 대출과 마찬가지라 시세에 영향을 받지 금리와는 무관하죠...

 

3줄 정리

1. 과거 2년 이상 전에 아파트를 주택담보대출을 활용해서 매수한 사람들은 담보물건의 가격이 많이 올라서 대출비율이 줄었고 원리금 부담도 크지 않다. 

2. 최근 대출 제한이 더 심해져서 대출 금액 자체가 줄었기 때문에 대출 금리에 대한 영향이 더 줄어들었다.

3. 전세끼고 매수한 아파트는 대출이 없기때문에 영향이 없다. 

 

첨언.

금리 상승시 문제는...

주택담보대출이 아니라...

기업이나 자영업자들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런 기업이나 자영업자들의 사업자금 대출 이율이 올라가서 수익성이 악화되면 결국 일자리에 문제가 생기는 분들이 생길텐데 그런 경우에 대출원리금 상환에 문제가 생길수 있겠죠. 

대출 금액이 부담되는게 아니라 대출원리금을 갚을 수 있는 직장을 잃어버리는게 문제라는 거죠.

IMF나 금융위기때도 마찬가지였죠 금리가 부담되는게 아니라 직장에서 짤려서 못버틴거죠. 

 

5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목록보기 코멘트작성 코멘트30
[* 비회원 *] 다른의견 1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낭인후후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뭐이리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낭인후후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뭐이리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낭인후후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코쿠마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낭인후후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나는날고싶다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낭인후후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전체 코멘트 보기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rich mode
code 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