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파크 붕괴로 인해 그간 건설현장의 관행처럼 여겨지던
1. 원가절감을 위한 하도급의 재하도급
2. 공사기간 단축을 위한 겨울철 콘크리트 타설
향후 분양현장에서는 규제안이 마련될걸로 예상됩니다.
물론 품질과 안전을 위해서는 당연한 조치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럼 분양가와 무슨관련이 있을까요?
1. 겨울철 영하기온 타설이 금지되고 1층당 양생기간 증가시 전체 공사기간 증가로 건축원가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2. 재하도급이 금지됨으로 인해 공사비가 증가됩니다.
3. 현재 분양가상한제로 인해 건설사의 마진이 낮은데 향후 공사원가가 증가될경우
수익성이 안나오는 현장위주로 개발을 포기하게 되면서 전체 분양물량이 줄어듭니다.
4. 공사비는 증가하고 분양물량은 줄어드니 당연하게도 분양가는 상승합니다.
부포에서 맨날하는 이야기가 땅이비싼가지 컨크리트 덩어리가 비싼게 아니라더니 하긴 상승론자나 하방론자나 자기 편할대로의 논리만 붙이죠
평당 수천하는 땅값에 평당 몇백하는 건축비가 10프로 오른다한들 평당 분양비용을 얼마나 올려받을까요? 그리고 분양가가 주변 집값에 영향을 더 받으면 받지 건축비에 다 영향을 받아왔던가 싶네요 |
반만 맞는 이야기네요
시멘트값은 잘 모르겠지만, 공사기간 증가는 전체 비용에 즉각 영향미칩니다. 광주 아이파크가 왜 공사를 그리 서둘렀는지 한 10초만 생각 좀 해보시지요 |
공사기간이 길어지면 당연히 일하는 사람이 오래 일하는거니 인건비에 대한 지출이 많아지는거고
그로인한 전체 비용이 오르는거라고 봅니다 이번사태로 인건비 자체가 오를일은 없을것같네요 |
@오빠는호갱님 숙련된 인력은 한정되어 있는데, 공기가 길어지면 인력순환이 안돼서 인건비를 높여서라도 인력을 확보하려 하겠죠. - 결론 : 인건비도 올라요. |
건축비도 이미 평당 6백넘어가요.
땅값은 냅둬도 오르는거고 건축비도 냅두면 오르는거지만... 규제 생기면 건축비 오르는거 가속화죠. 건축비 10프로만 늘어도 분양가 5천은 비싸질걸요? |
K케이 |
58
3
[* 비회원 *] |
13
0
동숭동 |
12
0
빨간딸기 |
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