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약금은 7억3천이고
예상 실거래가는 보수적으로 11억인데 (분양가는 9.5억정도)
집주인이 대출이 5억이 있네요.
계약시 잔금으로 대출 상환 및 근저당권 말소를 특약으로 넣긴 할건데
혹시나 나중에 전세값이 많이 떨어져서 집을 나가야할 때 전세금을 못돌려 받을 경우를 대비해서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해야 말아야 하나 고민중입니다.
알아보니 7억이 넘어가면 SGI 보증보험에 가입을 해야하는데 보험료가
2년에 무료 280만원이나 한다고 하네요..
좀 많이 비싸긴 하지만 그래도 가입하는게 맞을까요?
부동산포럼 분들의 의견 듣고 싶습니다.
선순위라면, 단 하나의 리스크는 집값폭락이죠.(폭락한다는게 아니라...)
그런데, 전세보증보험을 단순히 전세금을 지키려는 목적으로만 봐서는 안됩니다.
전세만기시 혹은 집주인이 변경되었을때 내가 갑이 되기 위해서 선순위 임에도 불구하고 드는거에요.(갑질을 하라는 말씀은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