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투브 자료가 많이 올라오는거 같은데.....
참 쓸데없이 시간보네는 느낌이라.......
요약정리가 있으면 좋을거 같네요
부동산관련 요즘 다시 상승이냐 하락이냐 관련 말들이 많은데
결국
지역 :서울(강남권) 서울(강남권이외) 수도권(배드타운),수도권(반도체 등 직장권) , 각 광역시, 그외 지방
종류: 아파트, 빌라(다가구, 다세대)
각각 다르고 세분하여 봐야겠죠 결국 더 많은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고 금리인상에 대한 부동산 하락은 이제 끝나고
추가적인 경제한파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부동산 고점에 대한 경험으로 다시 상승하겠죠
다만 그게 각 지역에 대한 상황에 따라 크게 나타날거 라고 봅니다
말씀하신 내용에 답이 있네요.
추가적인 경제한파... 요즘 우리나라 경제를 어떻게 보느냐에 달렸겠지요. 1년 넘게 수치가 안 좋아요. 코스피 지수 가지고 괜찮네 하시는분들도 계신데.. 일단 실질적인 무역수지나 경상수지등을 보시는게 좋겠지요 우리나라는 내수로 버틸수있는 나라가 아니니까요.
|
조금 다른거 같아서요
대부분의 아파트의 소유주가 개인으로 봤을때 무역수지나 경상수지 등에 크게 영향 받지 않을거 같습니다 금리인상 같이 개인에가 직접영향을 미치거나 IMF까지는 아니라도 그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경제적 이슈가 없다면 (국내 경제가 너무 않좋아져서 실업률이 5% 이상 상승한다던가 대출 연체율이 20~30% 이상 늘어난다던가 하는 정도?) |
@부룩송아지 집있는 사람이 무역수지 경상수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라.. 그럼 직접 영향 받는 사람도 있나요? 무역수지, 경상수지를 말한건.. 향후 경제가 좋지 않을 수 있다라는 예상이고 참고로 과거부터 부동산은 경기와 상관관계가 있어 왔거든요. 수요에 영향을 주니까요. 수도권은 하락하기 어렵다는 의견에 일부 찬성하지만 너무 넓다는 생각은 드네요. 수도권이라.... |
부동산은 중고로 스피커를 사는 것과 완전히 동일합니다.
중고 스피커를 잘 사면 다시 중고로 더 비싸게 팔 수 있어요~ 그러려면 사람들이 어떤 스피커를 좋아하는지 중고로 다시 팔아도 잘 팔리는 지를 봐야 합니다. 아파트도 마찬가지죠~ 어떤 아파트를 사람들이 좋아 할까요? 일단 3천 세대 이상 대단지를 좋아 합니다. 그래서 이들의 움직임을 봐야 하죠~ 이걸 못사는 사람들은 2천 세대 아파트를 사게 됩니다. 그래서 이들의 움직임도 봐야 하죠~ 이걸 못사는 사람들은 천 세대~
이런식으로 70년대, 80년대 등으로, 이런식으로 서울 한강을 중심으로 점차 테두리로, 이런식으로 역세권에서 비역세권으로 모든 움직임을 파악해야 합니다. 그러다 보면 돈은 그냥 벌리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