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 부동산포럼
  • 부동산포럼
  • 법률상담
  • 이사상담
  • 인테리어
  • 대출상담

집값 변동 원인 1순위는 금리가 맞는것 같습니다. 20
운~영자2 2023-05-18 06:30   조회 : 2261

실거주로 사는 사람들은 금리인상에 큰 영향이 없고 심리적 동요가 거의 없어요. 

우리나라는 DSR 대출 규제로 전체 집값에서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그리 높지 않고 소득이 적다면 디딤돌이나 보금자리리론 같은 저금리이면서 고정금리인 상품 가입이 가능했을꺼고 소득이 높아서 이 상품 가입이 안되었다면 내 소득으로 충분히 감내할 부분이라고 봐요. 실거주가 금리 때문에 사는 집을 던지는 일은 드물다는 얘기 입니다.

그럼 뭐가 문제냐 대출이 문제가 아닌 남의 돈 끌어다 집 산 경우. 바로 전세죠..근데 세입자는 이자에 민감합니다. 전세는 대출을 많이 해주거든요. 규제도 거의 없어요. 

예를 들어 2억을대출 받는 사람이 2프로 이자라면 월 이자 상환액은 월 33만원이죠. 근데 이자가 6프로로 오르면 100만원이 됩니다. 그럼 감당이 안되는거죠. 

결국 금리 폭등 -> 전세 수요 급감 -> 전세값 급락 -> 임대인 급매

이렇게 된거라고 봅니다. 

그럼 금리가 다시 내리면? 다시 전세 수요가 붙고 전세가는 오르고 집값이 횡보하는 상태에서 다시 전세가율이 상승하겠죠. 그럼 또다시 갭투기 수요 폭증에 집값 폭등 시나리오 나온다고 봅니다. 

그럼 집값 폭등 막는 답은 나와 있습니다. 바로 전세자금 대출에 대한 규제죠. 이것만 막아도 투기 수요는 상당수 줄어든다고 봅니다. 다만 이게 가능할까? 

아마 못할꺼에요. 무주택자 입장에서는 적은돈으로 이자만 내면서 월세 없이 좋고 넓은 집에 살 수 있는 가능성이 확 줄죠..분명 반대할꺼에요 저항이 있을 수밖에요. 금리가 떨어질수록 반발은 더 크겠죠. 아마 똑같이 반복되리라 봅니다. 정치인들은 본인들 표 떨어지는 일은 절대 하지 않거든요..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목록보기 코멘트작성 코멘트20
퇴마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해뜨는 다른의견 3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talker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misk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운~영자2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misk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운~영자2 다른의견 0 추천 0
*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밀밀 다른의견 0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시크릿커튼 다른의견 1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운~영자2 다른의견 1 추천 0
| 덧글 점아이콘
  1. 댓글주소복사
전체 코멘트 보기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