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전체뉴스
> 사회 > 분류
  • 사회
  • 문화

[종합] 트럼프 "김정은과 뭔가 할 것"…美, 韓에 대만지원 압박 가능성"
뽐뿌뉴스 2025-04-01 14:05   조회 : 53
newhub_20250401105725762653.jpg (32.5 KB)

아주경제 기사제공 : 2025-04-01 14:05:1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행정명령 서명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행정명령 서명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협력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의 아시아 정책에서 한국이 소외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타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 위원장에게 연락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그렇다”라고 답했다.
그는 "여러분은 이 말을 듣기를 싫어하지만, 나는 김정은과 좋은 관계를 갖고 있다"라면서 "나는 그와 환상적으로 잘 지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라고 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집권 1기 초기에 김 위원장을 '리틀 로켓맨(little rocket man)'으로 언급했던 상황 등을 거론하면서 "어느 날 그들이 만나고 싶다는 전화를 받았다.
우리는 만났고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소통하고 있다"라면서 "그것은 매우 중요하다.
알다시피 그는 큰 핵 국가이고 매우 스마트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큰 핵 국가'로 지칭하며 사실상 북핵을 묵인하는 등 북한에 대해 유화적 태도를 보여왔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 통신은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의 우려를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다"며 "한국은 이것(미·북회담)이 자국의 안보 이익을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이날 미국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는 '주한미군 유연성'에 대한 협의가 필요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앤드루 여 브루킹스연구소 한국 석좌는 이날 한나 포어먼과 함께 올린 '대만해협 비상 상황에 한국은 자신의 역할을 정의할 준비가 됐는가'라는 제목의 글에서 트럼프 정부가 한국에 대만 방어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도록 압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 국방부는 본토 방어와 함께 중국의 대만 침공 저지를 미군의 최우선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이들은 "이런 시나리오에서 미국은 대만해협에서 비상사태 발생 시 한국이 익숙한 영역에서 나와 보다 명확성을 제공하고 한미 동맹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약속하도록 밀어붙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정부는 인도·태평양을 우선시한다고 공언했다"라면서 "한국도 대만 해협을 포함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더 큰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날 중국 인민해방군이 "'대만 독립' 분열 세력에 대한 강력한 경고"를 보내기 위해 6개월 만에 대규모 대만 포위 군사 훈련을 개시하는 등 양안(중국-대만) 관계가 최근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상황이다.
여 석좌는 한·미가 다뤄야 할 의제로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 정의 △대만 위기 상황 시 한국의 군사적 기여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억제력 강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
이들은 전략적 유연성 문제와 관련해 한미 간 공식적인 입장이 2006년 이후 업데이트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한미 동맹의 역할과 책임이 더 넓은 인도·태평양을 대상으로 확대되었음에도 주한 미군이 어떻게 실제로 배치될지에 대한 내용은 명시돼 있지 않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한미군이 어떤 조건 아래 대만에 배치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한미연합사가 중국으로부터의 반격이나 북한의 도발에 대비해 한반도에서 방위와 억제를 보장할지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의 국정 공백 속 미·북 대화에 우리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하는 ‘한국 패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나왔다.
 다만, 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패싱'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난다든지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한다든지 할 경우에는 중국 및 대만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입장에 대해 한국이 덜 지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주경제=황진현 기자 jinhyun97@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정치자유 / 자유게시판에 뉴스를 스크랩 할 수 있습니다. 스크랩하기 >
목록보기 코멘트작성 코멘트0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rich mode
code mode